회원 민원, 자금이탈, 대출급증 ‘3중고’
[한국공제보험신문=홍정민 기자] 최근 금융시장 불안으로 은행 예금금리가 5%대까지 오르는 등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교직원공제회, 군인공제회 등 연금상품 운영 기관들이 각종 민원과 유동성 문제 등으로 마음고생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제회 이자율이 시중은행에 비해 낮다는 지적과 함께 공제회 대출 금리가 높다는 민원, 또한 자금 인출에 따른 유동성 문제까지 공제회 급여율 담당자들의 고충과 속마음을 들어봤다.
지난해 공제회들은 시중금리가 급격하게 인상하면서 연금저축상품에 해당되는 저축, 퇴직상품의 이자율(급여율)을 대폭 인상했다.
한국교직원공제회는 연금·저축상품인 목돈급여, 퇴직생활급여의 급여율을 지난해 11월 기준 4.4%, 12월 5.70%로 두차례 인상했다. 과학기술인공제회는 지난해 12월 기준 적립형공제급여 상품의 급여율을 4.05%에서 5.05%로 인상했다.
행정공제회는 현직, 퇴직회원이 여유자금을 예치할 수 있는 예금 상품인 한아름목돈예탁 급여율을 지난해 12월부터 5.7%(만기 지급식 1년 기준)로 올렸다. 군인공제회는 지난해 12월 목돈수탁저축상품의 급여율을 최대 5.9%까지 올렸다. 경찰공제회도 올해 1월 목돈수탁복지저축 상품 급여율을 최대 6.0%까지 인상했다.
급여율이 인상되는 과정에서 공제회 담당자들은 공통적으로 회원 민원과 이로 인한 자금 이탈, 대출 급증 등으로 고충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A공제회 담당자는 “급여율은 한국은행에서 고시하는 기준금리를 바탕으로 대의원회 등을 통해 결정하는데 지난해의 경우 시중은행의 금리결정에 비해 실시간으로 급여율 인상이 되지 않자 회원들이 금리인상을 요구하는 문의하는 목소리가 빗발쳤다”고 말했다.
이어 “반대로 대출의 경우 급여율 인상과 연동돼 대여이율을 높이는데, 저희 대여이율이 시중보다 낮았을 때 회원들의 대출요청이 몰리는 경우가 있었다”며 “대출금리는 급여율 인상과 연동해 결정되는데, 급여율 인상과 함께 대여이율이 인상되면 대출을 원하는 회원들은 갑자기 이율이 왜 이렇게 올랐냐고 항의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토로했다.
B공제회 담당자는 “공제회들은 급여율 자체가 시중은행 금리보다 높은 편이다. 그런데 지난해 너무 빠른 속도로 금리가 올라가며 시중은행과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했고, 이에 대한 민원이 많았다. 공제회들은 대부분 1년에 한두번 정도 지급율을 인상하는데 지난해에는 2~5번까지 인상하는 과정에서 이를 조율하는 것이 힘들었다”고 털어놨다.
C공제회 담당자는 “저축은행의 경우 만약 대출로 10억원, 20억원씩 큰 돈이 빠져나갈 경우 규모가 작은 곳들은 유동성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급하게 금리를 올려주는데, 단순히 저축은행 금리와 비교하면서 항의하는 민원들이 많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대출이율이 낮은 공제회에서 돈을 빼서 저축은행 등 고금리 상품에 투자하는 회원들도 발생했다. 갑자기 목돈을 인출하는 사람들이 생겨서 운용자산 규모가 달라진 것도 담당자 입장에선 어려운 점이었다.
B공제회 관계자는 “공제회 대출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목돈을 인출할 때 자금 유동성 부분에서 걱정을 좀 했었는데 지금은 대출 증가세도 줄어들고 회원들의 자금이탈도 돌아오는 추세라 상황이 심각하지 않다”고 전했다.
급여율 인상으로 인해 공제회들의 자산운용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회원들에게 지급할 돈이 늘어난만큼, 투자를 통해 더 많은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리 인상으로 인한 투자부서의 자금운용 부담 증가에 대한 조율도 필요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D 공제회는 “회원들이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금리인상을 요청하면서 저희도 작년에 공격적으로 금리인상을 시행했다”며 “이와 함께 초저금리 시대에는 회원들한테 3% 정도만 이익을 돌려드려야 했다면 지금은 6~7% 정도 수준으로 투자수익율을 통해 회원에게 이자를 돌려드려야 되기 때문에 투자 담당자가 좋은 물건을 선별하고 투자하는데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E 공제회는 “내부 금리가 오르면 자체적으로 투자를 더 해서 자금 조달을 해야하는데 시장상황이 여의치 않아 공제회 투자 담당자들의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저희는 올해 수익 창출을 조금 줄이고, 자금 유동성 확보와 회원 이탈 최소화에 집중하고 있어 다른 곳에 비해 투자 부담은 덜 한 편이다. 기관 성격에 따라 이런 부분에서 목표와 전략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