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땅’ 인도네시아, “변화의 파도에 올라타야”
상태바
‘기회의 땅’ 인도네시아, “변화의 파도에 올라타야”
  • 박형재 기자 parkhyungjae@kongje.or.kr
  • 승인 2025.01.24 14: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부디 헤라완(Budi Herawan) AAUI 회장
인구 2.8억명, 보험침투율 1.4%…보험업계 ‘엘도라도’
자동차보험 의무화, 농업보험 등 사업 기회 무궁무진
한국 보험업계와 교류 활발, 더 많은 시장 참여 원해
부디 헤라완 인도네시아 손해보험협회 회장이 한국 SGIS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국공제보험신문=박형재 기자] 인도네시아는 보험사에게 ‘기회의 땅’으로 불린다. 세계 4위의 인구대국(2억8000만명)이고, 평균연령이 29.9세이며, 보험침투율이 1.4%로 필리핀(1.9%), 베트남(2.3%)보다 낮아 성장 잠재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한국 SGIS를 방문한 부디 헤라완 인도네시아 손해보험협회장를 만나 현지 보험산업 전망과 한국 기업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한국공제보험신문 독자에게 인도네시아보험협회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인도네시아보험협회(AAUI)는 정부에 보험 정책을 제안하고, 보험산업 연구·조사, 보험 교육 등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입니다. 현재 회원사는 총 82개로 일반보험사 72개, 재보험사 7개, 특별회원 3개로 이뤄져 있습니다.

특히, 규제기관인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과 보험업계의 가교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규제가 나오기 전에 우리는 파트너사로서 의견을 제시하고, 보험사들이 실무적으로 가능한지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아울러 보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보험업계 종사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들의 보험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때로는 정부와 협력하여 보험 관련 정책을 제안하고, 보험시장 동향 조사, 보험산업 연구를 수행합니다.

인도네시아 법에 의해 협회의 권한도 부여받았습니다. 만일 회원사가 윤리, 규정을 위반한다면 우리는 협회 회원 자격을 박탈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그 회사의 보험업 면허도 정지됩니다. 다만, 아직까지 한번도 사용한 적은 없습니다.

인도네시아 보험시장 규모 및 전망은 어떤가요?

인도네시아에는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 인구가 2억8000만명이나 되고, 광물 등 자원이 많아 매년 5% 이상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보험산업이 아직 정착되지 않아 새로운 사업 기회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우리는 보험 보급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첫째, 인도네시아의 인구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둘째, 사람들의 보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교육과 홍보를 통해 금융 포용력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특히 올해부터 자동차 제3자 배상 의무화를 추진합니다. 현재 의무보험은 차량 탑승자의 상해 책임에만 국한됐습니다. 조만간 제3자에 대한 자동차 의무보험이 도입되면 보험가입율이 상승하리라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인도네시아 보험시장만의 특성이 있나요? 보험침투율이 낮은 이유가 문화적 차이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문화적 차이보다는 여러 단체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보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보험 교육 통합을 포함한 산업 및 정부의 협력, 중·고등학교, 대학교의 보험 교육 강화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대중들의 보험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책임보험 범위가 직접손실뿐만 아니라 간접손실도 보상하기에 책임보험 한도가 꽤 큽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법에서는 보험의 직접손실만 다룹니다. 기업에서 필요에 따라 호텔, 공장 등의 책임보험에 가입하지만 이것이 의무는 아닙니다. 은행 등 금융기관이 대출 조건으로 보험가입을 요구하지만, 이것도 가끔씩 일어나고요.

그래서 아시아 국가 중 인도네시아의 보험 침투율은 캄보디아보다 조금 높은 수준입니다. 인구가 2억8000만명이나 되는데 보험침투율은 아시아 하위권이에요. 이것은 저에게 큰 책임감으로 다가옵니다.

우리는 보험침투율을 최소한 아시아 3~4위까지는 상승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회원사들에게 올해는 디지털화를 통해 돌파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해외 보험사나 브로커들도 인도네시아 시장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는 만큼,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볼 생각입니다.

방금 ‘디지털화’를 강조하셨는데, 디지털에 주목하는 이유가 있나요?

첫 번째는 지리적 이유입니다. 인도네시아는 1만7000여개 섬으로 이뤄진 거대한 나라입니다.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비행기로 6시간 정도가 걸립니다. 섬들이 고립되어 있고, 사람들의 경제력도 지역별로 다르며, 300개 이상의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매우 다양한 국가입니다. 따라서 보험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려면 디지털화가 필요합니다.

두 번째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모두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합니다. 휴대폰을 2개씩 갖고 있는 사람도 있고요. 스마트폰으로 보험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부디 헤라완 인도네시아 손해보험협회 회장이 한국 SGIS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마치고 손하트를 하고 있다. 

회장님이 인도네시아 보험협회를 이끌면서 중점 추진한 업무는 무엇입니까.

우선 자동차 배상책임보험(TPL)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협회에서 인도네시아 정부에 보험 도입을 제안했고, 2025년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모든 시스템을 준비 중입니다.

클레임 발생 시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AI를 도입하고, 사람들에게 보험의 혜택을 전파할 계획입니다. 한국처럼 한도가 큰 것은 아니고, 보험사에 부담주지 않는 선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협정요율 개편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재물보험 및 자동차보험의 보험요율을 OJK에서 모두 통제하는데, 이와 관련한 기초자료의 제공 및 변경안을 금융당국에 제시했습니다.

저희는 부동산(Property), 지진(Earthquake), 자동차(Motor), 전기차(EV) 관련 새로운 요율 계산을 마쳤고 이를 OJK에 제출했습니다. 재산보험 요율을 5~7% 인상, 자동차보험은 10~15% 인상을 제안했는데, 규제기관은 현재 경제상황을 고려해 기다리라고 합니다.

지금 경제 상황에서 이를 발표하면 인플레이션이 높은 가운데 국민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어 조심스러운 입장입니다.

장기손해보험 도입도 추진 중이라고 들었습니다.

장기 손해보험 도입 규정은 마련했으나, 세부사항이 없어 선진국 사례를 학습하여 규정을 만들고자 합니다.

인도네시아는 아직까지 은행 예금 금리가 높기 때문에 보험보다는 은행 상품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장기보험을 취급하는 생명보험사의 경우 금리 변동으로 인해 상당한 손실을 보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손해보험사들은 아직 적극적으로 장기손해보험 시장에 진출하지 않고 있습니다. 장기 손해보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과 함께 더 많은 학습이 필요합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보험 시장도 상당한 어려움을 격고 있습니다. 국민의료보험에 해당하는 BPJS가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고 있으며, 의료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건강보험상품의 손해율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카르타의 유명 상급병원은 의료비가 상당히 비싼 편에 속하며, 의료비의 정부 통제가 없으므로 병원들의 의료비 인상은 보험회사의 손해율 증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 협회는 OJK, 보건부와 협력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올해 안에 의료비 표준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한국 손해보험협회 이병래 회장과 인도네시아 손해보험협회 부디 헤라완 회장이 12월 9일 ‘협회간 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 손해보험협회 이병래 회장(왼쪽)과 인도네시아 손해보험협회 부디 헤라완 회장이 12월 9일 ‘협회간 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 보험업계와 교류가 활발합니다. 최근 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와 MOU를 맺고, 삼성화재, KB손해보험, 한화생명 등 6개 기업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했습니다. 한국 보험업계와 어떻게 비즈니스 시너지가 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최근 한국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와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회원사 간 교류 확대, 양국 보험산업과 리스크관리에 관한 지식 공유, 공동 연구 강화, 인적 교류 확대, 생명보험통계의 정기적 교환 등에 합의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면 시너지가 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 보험사들은 다양한 사업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한가지 바라는 점이 있다면, 한국 관련 기업들만을 위한 보험이 아니라, 현지 고객들까지 사업 범위를 넓히는 것입니다.

예컨대 한국에는 다양한 손해보험 상품이 있는데, 그 중 농업 관련 보험을 인도네시아에 전파한다면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겁니다.

아시다시피 인도네시아에는 농부가 많고 현재 쌀을 수입하고 있는데, 사실 우리는 자체 생산을 통해 자급자족해야 한다는 목표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 OJK에서 협회에 ‘농업보험’의 수리적 계산 작업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한국 기업과 시너지가 날 수 있습니다.

추가로 하고 싶은 말

인도네시아는 비용 구조와 관리 효율성에서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특히 IFRS17 같은 새로운 회계 기준의 도입은 새로운 위협입니다.

AAUI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자본 확충 및 규제를 포함한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탐색하고, 산업 회복력을 보장하기 위한 조정작업에 착수했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최소 자본의 증가입니다. 보험사들은 규정에 따라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최소 자본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보험회사는 혼자 존재하지 않고, 재보험 등도 필요합니다. 갑자기 최소 자본을 늘린다고 해서 회사가 바로 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모든 보험사를 도와주고 싶습니다. 이들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경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진 보험 시스템을 도입해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고 싶습니다. 저희 인도네시아와 보험협회에 더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다양한 형태의 협업 기회에 대해 제안주시기 바랍니다. 












부디 헤라완 AAUI 회장 약력

2008-2010
Technical Director, PT Tugu Reasuransi Indonesia

2010-2012
President Director, PT Victoria Insurance

2012-2013
Marketing Director, PT Bosowa Insurance

2014-2015
Staf Ahli Kepala Dept. IKNB II - OJK

2016-2018
President Director, PT Asuransi Purna Artanugraha

2018-NOW
President Director, PT Asuransi Candi Utama

2023-now
- Chairman aaui, 
- komisaris utama, pt reasuransi maipark indonesia
- pengawas laps sjk
- tim penilai kemampuan & kepatutan - OJK

“The Land of Opportunity” Indonesia, “We Must Ride the Wave of Change”
[Interview] Budi Herawan, Chairman of AAUI
Population of 280 million, Insurance Penetration Rate of 1.4%… The Insurance Industry’s “El Dorado”
Infinite Business Opportunities Such as Mandatory Auto Insurance, Agricultural Insurance
Active Exchanges with the Korean Insurance Industry, Want More Participation in the Market

Indonesia is called “the land of opportunity” for insurance companies. It is the world’s fourth most populous country (280 million people), has an average age of 29.9, and its insurance penetration rate is 1.4%, lower than the Philippines (1.9%) and Vietnam (2.3%), indicating outstanding growth potential. We met with Budi Herawan, Chairman of the Indonesian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AAUI), to discuss the outlook of the local insurance industry and the likelihood of success for Korean companies in SGIS Korea office.

Please introduce the Indonesian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to the readers of Korea Mutual & Insurance News.

The Indonesian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AAUI) is a very important institution that proposes insurance policies to the government, conducts research and surveys on the insurance industry, and provides insurance education. Currently, there are a total of 82 member companies: 72 general insurance companies, 7 reinsurance companies, and 3 special members.

In particular, it plays a bridge role between the regulatory body, the Financial Services Authority of Indonesia (OJK), and the insurance industry. Before any new regulations are introduced, we offer our opinions as a partner, and we provide feedback on whether insurers can practically implement them.

In addition, we operate insurance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those working in the insurance industry and to help customers understand insurance. Sometimes, we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to propose insurance-related policies, conduct insurance market trend surveys, and carry out insurance industry research.

We have also been granted authority by Indonesian law. If a member company violates ethics or regulations, we can revoke its membership in the association, and at the same time, that company’s insurance business license will be suspended. However, we have never used this authority yet.

How large is the Indonesian insurance market, and what is its outlook?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in Indonesia. It has a population of 280 million, possesses abundant resources like minerals, maintains an economic growth rate of over 5% annually, and because the insurance industry is not yet fully established, there are new business opportunities.

However, we face difficulties in terms of insurance distribution. First, this is due to Indonesi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people lack awareness about insurance. Therefore, we aim to expand financial inclusion through education and promotion.

In particular, starting this year, we are pushing for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third-party liability insurance for automobiles. Currently, compulsory insurance is only limited to liability for injuries to passengers in the vehicle. We believe that once mandatory automobile insurance for third parties is introduced, the insurance subscription rate will rise.

Are there any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Indonesian insurance marke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 wonder if the low insurance penetration rate i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Raising awareness about insurance requires a collective effort between the industry and the government, including integrating insurance education international curricula at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This collaborative approach will help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insurance among the public.

Particularly in Korea, the scope of liability insurance covers not only direct losses but also indirect losses, so the liability limit can be quite large.

However, Indonesian law only deals with direct losses covered by insurance. Depending on necessity, companies buy liability insurance for hotels or factories, but it is not mandatory. Sometimes banks or financial institutions require insurance as a condition for loans, but that also happens only occasionally.

Thus, among Asian countries, Indonesia’s insurance penetration rate is just slightly higher than Cambodia’s. Even though we have a population of 280 million, our insurance penetration rate is in the lower ranks in Asia. This gives me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We believe we must raise the insurance penetration rate to at least third or fourth place in Asia. Hence, I told our members that this year we must find a breakthrough through digitalization. As foreign insurers and brokers also pay attention to the growth potential of the Indonesian market, we intend to bring about new changes.

You just emphasized “digitalization.” Is there a reason you are focusing on digital?

The first reason is geographical. Indonesia is a huge country made up of about 17,000 islands. It takes about six hours by plane from the easternmost part to the westernmost part. The islands are isolated, people’s economic capacity differs by region, and there are more than 300 ethnic groups and languages, making it a very diverse nation. Therefore, to provide insurance services smoothly, digitalization is necessary.

The second reason is that Indonesian people are all familiar with using smartphones. Some even have two cell phones. It is advantageous to provide insurance via smartphones.

As the Chairman of the Indonesian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what are the key tasks you have been working on?

First, we plan to introduce automobile third-party liability insurance (TPL). The association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insurance to the Indonesian government, and we are preparing all systems with the goal of implementing it in the second half of 2025.

We plan to introduce AI to simplify the claims process and to spread the benefits of insurance to the public. It will not be as large-scale as in Korea, and we will proce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burden insurers.

Also, we are carrying out a project to revise the tariff agreement. In Indonesia, insurance premium rates for property insurance and automobile insurance are all controlled by the OJK, and we have provided basic data and suggested changes to the financial authorities related to this.

We have completed new rate calculations for Property, Earthquake, Motor, and EV-related coverage and submitted them to the OJK. We proposed a 5–7% increase in property insurance rates and a 10–15% increase in auto insurance rates, but the regulator told us to wait, considering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They are cautious because announcing that now, amid high inflation, could burden the national economy.

I heard that you are also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general insurance.

We have prepared regulations for introducing long-term general insurance, but because there are no detailed guidelines, we want to learn from the examples of developed countries to create these regulations.

In Indonesia, bank deposit interest rates are still high, so people prefer bank products over insurance. Life insurers, who handle long-term insurance, have suffered considerable losses due to interest rate fluctuations.

Because of this, general insurers have not yet aggressively entered the long-term general insurance market. To activate long-term general insurance, government-level support and much more learning are needed.

After COVID-19, the health insurance market also faces considerable difficulties. BPJS, which corresponds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is not being properly activated, and due to medical cost inflation, the loss ratio of health insurance produc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amous high-tier hospitals in Jakarta are quite expensive, and since there is no government control over medical costs, the increase in hospital fees affects the loss ratio of insurers.

Currently, our association is cooperating with the OJK and the Ministry of Health to solve this problem. We plan to promote standardization of medical fees within this year.

Exchanges with the Korean insurance industry are active. Recently, you signed MOUs with the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of Korea and the Korea Life Insurance Association, and six Korean companies—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KB Insurance, Hanwha Life, etc.—have entered Indonesia. I’m curious about what kind of business synergy is emerging with the Korean insurance industry.

We recently signed MOUs with the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of Korea and the Korea Life Insurance Association. Accordingly, we agreed to expand exchanges among member companies, share knowledge on the insurance industries and risk management of both countries, strengthen joint research, expand human exchanges, and regularly exchange life insurance statistics. I think that if we cooperate in various fields in this manner, we will see synergy.

The Korean insurance companies that have entered Indonesia are effectively developing diverse businesses. One thing I hope from them is that they do not limit their insurance coverage to only companies related to Korea, but expand their business scope to local customers as well.

For example, Korea has various non-life insurance products, and if agricultural insurance is introduced to Indonesia, it could contribute to market expansion.

As you know, Indonesia has many farmers and is currently importing rice, but we actually have a goal of achieving self-sufficiency through our own production. In connection with this, the OJK once directed our association to carry out the actuarial calculation work for “agricultural insurance.” We can create synergy with Korean companies in this area.

Any additional comments?

Indonesia faces challenges in cost structure and management efficiency, particularly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accounting standards such as IFRS 17. 

However, AAUI is working closely with stakeholders to address these issues by exploring sustainable solutions, including capital expansion and regulatory adjustments to ensure industry resilience.

The core issue is increasing of minimum equity. There is a regulation that requires insurers to increase their minimum equity step by step until 2028, but an insurance company does not exist alone. Reinsurance, etc., is also necessary. Even if you suddenly ncreasing the minimum equity, it does not mean the company will grow right away.

I want to help all insurance companies. I want to support them so they can manage in a better environment, and introduce advanced insurance systems to open up new opportunities. Please show more interest and support for Indonesia and our association. Please send us proposals for various forms of collaboration opportunities.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